안녕하세요 요즘 광고들을 보면 환경을 위해 기업이 노력한 사실들이나 어떤 국가에 재난이 있을 때 도와줬다는 것들을 많이 표현 하는 것 같습니다. 아마 ESG때문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오늘은 ESG의 대해서 설명해보도록하겠습니다.

ESG?
ESG란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영어 앞글자를 딴 단어로 재무적(이익, 매출, 비용)과는 관련되지 않은 비재무적 성과지표지만 기업의 가치에 영향을 주는 지표입니다.
기존에는 재무적 지표들만이 기업의 성과 즉 주가의 영향을 줬다고 하면 최근에 들어서는 '지속가능한' 이라는 단어가 들어 갈 수 있는 ESG라는 지표 또한 영향을 받고있고 앞으로도 계속해서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받고 있습니다.
저는 이 ESG라는 뜻을 듣고 나서 노블레스 오블리주 라는 단어가 떠올랐습니다. 프랑스 단어인데 번역하자면 '귀족은 의무를 갖는다'인데요. 부와 권력, 명성은 사회에 대한 책임과 함께 해야한다는 의미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ESG라는 단어와 '노블레스 오블리주'라는 단어.... 뭔가 비슷하지 않나요?
현대의 부와 권력, 명성을 지닌 기업
최근 기사 중에 SK그룹이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통했다라는 뉴스 기사를 봤습니다. 특히 SK그룹이 국내 많은 기업들 중에서 관심도 1위를 달성했다는 기사인데요. 주로 사회와 지배구조를 기반으로 한 내용들이었습니다. 이렇게 ESG의 대한 관심도가 점차 증가하는 건 좋은 의미라고 생각하지만 저의 개인적인 생각은 사회, 지배구조 또한 중요한 내용이지만 현재 가장 중요한 내용으로 생각하고 앞으로 많은 기업들을 조사해서 블로그에 올리게 될 예정이고 제가 개인적으로 공부한 내용으로는 환경이 특히 더 강조 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뉴스 기사처럼 막대한 부를 가진 기업들은 마치 징병의 의무를 다하는 귀족처럼 지구 온난화와 같은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해지는 사실을 인지하고 경영 방식이 바뀌고 있습니다.
- 환경(Environment): 친환경적인 기술, 에너지 효율, 탄소 중립같은 대기, 물, 토양 오염 및 자원 소비 등과 같은 환경 문제에 대응 하고 지속 가능한 자원 활용을 고려하는걸 말합니다.
- 사회(Social): 노동자의 권리와 안전, 윤리적인 경영 들이 사회적 측면같은 사회적 다양성, 노동 조건, 안전 및 보안. 소비자 권익, 사회 공헌, 지역 사회 발전들을 고려하는걸 말합니다.
- 지배구조(Governance): 투명한 경영, 이해관계자와의 적절한 소통, 감사 및 감독 시스템같은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 이사회의 역할과 책임, 감사체계 등을 고려하는걸 말합니다.
ESG, ESG경영은 기업의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과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금융시장 또한 ESG요소를 고려한 투자가 중요시 되고 있어 기업의 ESG경영은 투자자와의 관계에서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렇게 오늘은 간단하게 ESG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ESG는 현재의 노블레스 오블리주며 특히 현재는 E(환경)가 ESG중에서 특히 관심도가 높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다음에는 ESG중에서 E가 왜 더 관심도가 높다고 생각하는지에 관해 더 깊게 알아볼 예정입니다. 많은 기대 해주세요!
'트렌드 > ESG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G!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0) | 2023.11.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