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글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05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지각 3)
저번 글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98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지각 3)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81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지각 2) 다시 돌아온 인지심리학..
startagainbornagain.tistory.com
스트로보스코프에 의해 생성된 착시 움직임 현상의 원리인 가현 운동(apparent movement)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혹시 저번 그림이 기억이 안 나시면
이 사진입니다. 가현운동이라는 말은 움직임이 지각되지만 실제로는 움직이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는 뜻입니다.
wertheimer는 이 현상으로부터 두 가지 결론이 나왔습니다.
- 가현 운동이 감각만으로 설명할 수 있는 현상이 아니라는 점 왜냐하면 두 개의 불빛 사이에 암전 된 순간에는 아무런 자극도 제시되지 않았고, 따라서 빛의 움직임은 감각에 의한 것일 리는 없기 때문입니다.
- 전체는 그 부분의 합과 다르다는 결론이었는데, 이는 곧 게슈탈트 심리학의 기본 원리가 되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게슈탈트 심리학자들은 몇 가지 지각 조직화의 원리를 도출하였고 이러한 원리들을 이용해서 부분적 요소들이 조직화되어 더 큰 사물을 형성하는 방식을 설명하였습니다.
부드러운 연속의 원리
부드러운 연속의 원리(principle of good continuation)는 연결했을 때 직선 혹은 부드럽게 휘어진 곡선으로 보이는 점들의 집합은 서로 같이 연겨로딘 것으로 보이고, 연결된 선은 가장 자연스럽고 완만한 경로로 지각됨을 나타냅니다. 또한 어떤 사물의 일부가 다른 사물에 의해 가려졌을 때 가려진 부분 뒤로 계속 존재하는 것으로 지각됩니다.
좋은 형태(praganz)의 원리
Paragnanz는 독일어로서 '좋은 형태'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Pragnanz 법칙(raw of Pragnanz) 혹은 단순성의 원리(principle of simplicity)라고 불립니다. 이 원리는 모든 자극 패턴이 가능하면 가장 간단한 구조로 지각되도록 조직화 된다는 것입니다.
유사성의 원리
유사한 사물일수록 서로 모여 있는 것처럼 지각된다는 유사성의 원리(principle of similarity)를 묘사하는 현상입니다.
이밖에도 기존의 게슈탈트 심리학자 혹은 현대 심리학자들이 제안한 수많은 지각 조직화의 원리가 존재합니다. 우리가 이 원리 중 몇 가지를 소개하면서 전달하고자 했던 것은 지각이 망막에 맺힌 명암 패턴 그 이상의 기제와 정보 원천에 의존한다는 것을 게슈탈트 심리학자들이 발견했다는 점입니다. 게슈탈트 심리학자들은 지각이 각각의 특정한 지각 조직화의 원리에 의존한다고 보았습니다.
환경의 규칙성에 대해 고려하기
현대의 지각 심리학자들은 환경의 규칙성(regularities in the environment), 즉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주변 환경의 특징에 대한 인간의 배경 지식이 지각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을 제기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보통 파란색은 탁 트인 하늘, 전원 풍경은 초록색이나 완만함, 수직선과 수평선은 건물과 주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규칙성은 크게 물리적 규칙성과 의미적 규칙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물리적 규칙성
물리적 규칙성(physical regularities)은 규칙적으로 나타나는 주변 환경의 물리적 특성을 지칭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 주변에는 사선보다는 수직 혹은 수평의 요소들로 구성된 사물들이 더 많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모습은 인위적인 환경뿐만 아니라 자연적인 환경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이 수평과 수직을 다른 기울기보다 더 쉽게 지각할 수 있는 것은 우연이 아니며, 이를 경사 효과(oblique effect)라고 합니다.
물리적 규칙성의 또 다른 사례로는 하나의 사물이 다른 사물을 부분적으로 가릴 때 가려진 사물의 윤곽이 '반대편으로 삐져나오는'현상을 들 수 있습니다.
의미적 규칙성
언어에서 의미는 단어나 문장의 뜻을 가리킵니다. 장면에 빗대어 말하자면 의미는 시야에 펼쳐진 장면의 뜻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뜻은 종종 장면 내에서 벌어지는 일들과 연관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식재료 준비하기, 요리하기, 먹는 행위는 주방에서 일어날 가능성이 높을 것이 다라는 것으로 의미적 규칙성(semantic regularities)은 다양한 종류의 장면에서 수행되는 것들과 연관된 특성들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알아보았고요 다음에는 베이지안 추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인지'에 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재 (0) | 2021.09.09 |
---|---|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지각 5) (0) | 2021.09.02 |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지각 3) (0) | 2021.08.05 |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지각 3) (0) | 2021.05.27 |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지각 2) (0) | 2021.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