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81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지각 2)
다시 돌아온 인지심리학을 공부하는 시간입니다. startagainbornagain.tistory.com/74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지각 1)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각에 대해서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tartagainbornagai
startagainbornagain.tistory.com
인간의 지각활동을 위한 정보 유형
지각의 목적 중 하나가 주변 환경에 무엇이 존재하는지를 알아내는 데 있기 때문에 지각이 환경에서 추출한 정보에 기반을 두는 것은 당연합니다. 빛의 형태로 눈에 입력되는 정보와 이 정보가 유발하는 뇌의 전기적 신호는 무엇인가를 지각하는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요소들이 없다면 우리 신경계에 표상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눈에서 뇌로 이어지는 정보전달 과정을 상향 처리(bottom-up processing)라고 부르는데 그 이유는 상향 처리가 환경적 에너지가 수용기를 자극하는 감각의 단계, 즉 지각 체계의 '맨 아래 시점'에서부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출처 : https://www.verywellmind.com/bottom-up-processing-and-perception-4584296)
그러나 이 지각과정은 수용기의 활성화와 상향 처리를 통해 제공받은 정보 이외의 정보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지각 과정은 환경에 대한 기존 지식이나 특정한 상황이 유발하는 기대감, 특정 사물에 할당된 주의와 같은 요소에 영항을 받습니다. 이런 추가적인 정보는 뇌의 상위 지각 체계에서 시작되는 하향 처리(top-down processing)의 근간을 이룹니다.
사물 지각하기
인간이 컴퓨터에 비해 더 높은 지각 수행능력을 가지는 이유가 하향적인 추가적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것과도 어느 정도 연관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의 '보여주기'는 기존 지식이 지각 과정에서 수행하는 특수한 역할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아마도 몇 분들은 처음부터 얼굴을 지각하는 것이 힘들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다가 점차 얼굴들을 발견하시게 될 겁니다.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이 현상에서 주목할 점은 우리가 한 번 특정한 바위들을 얼굴로 지각한 후에는 얼굴이 아닌 다른 사물로 지각하기 어려워진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바위들은 그림 속의 사람 얼굴로 영구적으로 굳어져서 지각 됩니다.
문장 속에서 단어 듣기
문장 속 단어의 발화가 끝나는 시점과 그다음 단어의 발화 시점을 구분 가능하게 하는 현상을 말 분절(speech segmentation)이라고 합니다. 각각의 청자가 듣고 있는 언어와 관련해서 경험한 것 혹은 경험하지 못한 것이 청자의 지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연속적인 소리 신호는 귀를 통해 들어와서 뇌의 언어 영역에 도달하는 전기적 신호를 유발합니다(상향 처리). 그리고 만약 청자가 그 언어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면 그 지식(하향 처리)은 개별 단어에 대한 지각을 가능하게 합니다.
통증
아마도 통증에 대한 지각인 통 지각은 하향 처리가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가장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일 것입니다. 먼저, 초창기 연구자들이 고통을 어떻게 생각했는지를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1950년대부터 1960년대 초까지 통증은 직접 경로 모형(direct pathway model)으로 설명되었습니다.
이 모형은 피부 속의 침해 수용기에 자극이 가해지면 이 수용기와 뇌를 직접 잇는 경로를 통해 전기적 신호가 보내지고 이 관정에서 통증이 발생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지각된 고통이 수용기에 가해지는 자극에 달려 있다는 점에서 상향 처리로 분류됩니다. 그러나 1960년대에 이르러 일부 연구자들은 피부 자극 이외에도 통 지각이 영향을 받는 상황들을 발견하기 시작했습니다.
관련된 초기의 발견 중 하나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안치오(Anzio) 상률 거점에서 부상당한 대부분의 미국인들이 "큰 부상을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통증을 부인하거나 미미하게 느껴서 통증 완화를 위한 치료를 원하지 않았다"라고 Beecher가 보고한 사례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 중 하나는 군인들의 부상에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부상이 있는 경우 위험한 전투 현장에 투입되지 않고 안전한 후방의 병원에 머물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최근에 이르러 통 지각이 개인의 기대나, 주의를 어디로 기울이는지, 그리고 주의를 빼앗은 자극은 어떤 것이 있는지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고요 다음에는 사물 지각의 이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지'에 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지각 4) (0) | 2021.08.12 |
---|---|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지각 3) (0) | 2021.08.05 |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지각 2) (0) | 2021.05.13 |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지각 1) (0) | 2021.04.08 |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인지신경과학 3) (0) | 2021.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