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지각에 대해서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tartagainbornagain.tistory.com/71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인지신경과학 3)
오늘은 이어서 진행하겠습니다. 저번 글을 읽지 않으신 분은 startagainbornagain.tistory.com/66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인지신경과학 2) 안녕하세요 다시 돌아온 인지 심리학 시간입니다. 저번
startagainbornagain.tistory.com
위에 있는 링크는 저번 글이고요 분산 표상과 뉴럴 네트워크를 간략하게 설명하고 시험기간이라서요 오늘은 글이 짧을 예정입니다.
뇌 전반에 걸친 분산표상
특정 기능에 기여하게끔 전문화된 뇌의 특정 영역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뇌 영상 연구를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살펴보았습니다. 특정 인지 기능이 뇌의 많은 영역들을 활성화시킨다는 생각을 분산 표상(distributed representation)이라고 부릅니다.
전문화된 영역이 존재한다고 해서 얼굴이 그 영역만을 활성화시킨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그 영역이 강하게 활성화된다는 뜻이고요 다른 영역도 뉴런이 활성화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공원을 산책 중에 강아지와 산책하는 사람을 보았다고 합시다.
우리가 강아지를 바라볼 때 FFA라는 많은 뉴런들을 활성화시킬 뿐만 아니라 얼굴의 형태에 대해 반응하는 다른 영역들의 뉴런들까지 활성화시킵니다. 여기서 단순히 '저것은 귀여운 강아지의 얼굴이다.'를 넘어서,
강아지가 여러분을 바라보고 있는지 여부, 강아지가 얼마나 귀엽다고 생각하는지, 강아지의 표정이 어떤지, 그리고 강아지의 얼굴 표정에 대한 여러분의 반응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입니다.
밝혀진 바에 따르면, 얼굴에 대한 이러한 반응들 각각에 따라 뇌에서 상이한 영역들이 활성화됩니다.
모두 함께: 뉴럴 네트워크
구조와 같은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에 관한 연구들이 다양한 인지를 생성하기 위해 많은 상이한 뇌 영역들이 함께 작업하는 교향곡과 유사한 것으로 뇌를 보는 생각을 시사합니다.
지각
이제 지각에 대해 소개만 하고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해수욕장에 놀러 가서 맨 발로 모레를 밝고 달리고 있다고 가정하여 봅시다.
우리는 달리면서 물놀이하는 사람들, 텐트를 치고 있는 아저씨, 떠밀려온 밧줄들과 같은 것들을 보고, 듣고, 느끼고 있을 것입니다.
지각(perception)은 감각의 자극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각은 우리가 받아들인 정보들로 바꿀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바다에서 물놀이하다가 간 사람들이 있다면 '이제 더 이상 물놀이하는 사람이 없다'라는 정보를 얻어서 지각할 수 있게 됩니다.
또 우리가 흔히 보는 착시현상들은 지각 규칙(사물들이 위아래로 겹쳐 있을 때, 아래의 사물이 보통 위의 사물 뒤에 이어져 있다는 규칙)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오늘은 간략하게 알아보았고 시험 기간이라서 쉬기에는 나중에 하기 싫어질까 봐 이렇게 분량을 줄이는 것으로 스스로 합의를 보았습니다. 조금 양이 적어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
''인지'에 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지각 3) (0) | 2021.05.27 |
---|---|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지각 2) (0) | 2021.05.13 |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인지신경과학 3) (0) | 2021.04.01 |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인지신경과학 2) (0) | 2021.03.25 |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인지신경과학 1) (0) | 2021.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