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지'에 관하여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주의3)

반응형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29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주의2)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25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주의)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18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지각 6) https://startagainbornagain.ti..

startagainbornagain.tistory.com

브로드벤트 모형의 변형: 다른 초기 선택 모형들

  Broadbent의 주의 여과기 모형의 장점은 선택 주의에 관한 검증 가능한 예측을 제시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브로드벤트 모형에 따르면 방치된 메시지들은 여과기에서 모두 걸러지기 때문에 거기에 포함된 어떤 정보도 인식할 수 없습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Neille Moray가양분 청취법 실험을 한 결과, 약 1/3의 참가자들이 방치된 귀 쪽에 제시된 자기 이름을 인식했습니다.

브로드벤트 모형에 따르면 여과기는 물리적 특징에 기초해 정보를 걸러내기 때문에 Moray 실험의 참가자들은 자신의 이름을 인식하지 못했어야 합니다. 하지만 참가자의 이름은 걸러지지 않았고 의미를 인식 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분석되었습니다. Moray의 실험 결과와 비슷하게 시끄러운 방에서 다른 사람에게 얘기하고 있을 때, 다른 사람이 자신의 이름을 얘기하는 것을 듣게 된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Moray를 필두로 여러 실험들은 방치된 귀 쪽에 제시된 정보들이 의미 수준까지 부분적으로 처리가 된다는 것을 입증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옥스퍼드 대학교의 학부생이던 J. A. Gray와 A. I Wedderburn은 '사랑하는 숙모 제인(Dear Aunt Jane)'이라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Cherry의 양분 청취법 실험처럼 참가자들은 집중한 귀에 제시되는 '사랑하는 칠 제인(Dear 7 Jane)'이라는 메시지를 듣고 따라 말하기를 하였고, 다른 쪽 귀에는 '구 숙모 육(9 Aunt 6)이라는 메시지를 들었습니다. 집중한 귀에 제시된 메시지를 따라 말하기 했을 때 사람들은 '사랑하는 칠 제인'이 아닌 '사랑하는 숙모 제인'을 들었다고 보고 했습니다.

방치된 쪽에 제시된 '숙모'라는 단어를 처리한 것은 주의가 한쪽 귀에서 이동했다 돌아왔을을 보여줍니다. 이는 사람들이 단어의 의미를 중요하게 고려했음을 나타냅니다. Anne Treisman은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브로드벤트 모형의 수정안을 제시했습니다.

Treisman은 선택이 두 개의 단계에 걸쳐 나타난다고 제시하고 여과기를 약화기(attenuator)로 대체했습니다. 약화기는

  1. 물리적 특징(음높이, 속도),
  2. 언어(음절, 단어)
  3. 단어의 연속성이 어떻게 의미를 만들어내는지를 기준으로 수집되는 정보를 분석을 합니다.

약화기란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것이지 특정 뇌 구조가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주세요.

Treisman의 선택적 주의의 약화 모형 흐름도

채널을 통과하는 정보들이 선택된다는 점에서 Treisman의 모형은 Broadbent의 모형과 얼핏 비슷합니다. 그러나 Treisman의 주의의 약화 모형(attenuation model of attention)은 언어와 의미 등을 통해 메시지를 분별할 수 있다고 제시합니다. 짚고 넘어갈 점은 Treisman에 의하며느 메시지에 대한 분속은 집중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데 필요한 수준까지만 진행된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남성의 목소리와 여성의 목소리로 구성된 두 메시지가 제시되면, Broadbent가 강조한 물리적 수준에서의 분석만으로도 남성의 낮은 목소리와 여성의 높은 목소리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목소리가 비슷하다면 두 메시지를 구분하기 위해 의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입니다.

Treisman의 모형에 따르면 집중된 메시지와 방치된 메시지 모두 확인된 이후에는 약화기(attenuator)를 통과합니다. 그러나 집중된 메시지들은 온전히 유지되는 반면 방치된 정보들은 집중된 메시지보다는 약화되지만 없어지지 않습니다. 그러나 집중된 메시지들은 온전히 유지되는 반면 방치된 정보들은 집중된 메시지보다는 약화되지만 없어지지는 않습니다. 방치된 메시지의 일부라도 여과기를 통과하기 때문에 Treisman의 모형은 '세는 여과기(leaky filter)'모형이라고도 불립니다.

약화기를 거친 정보들은 두 번째 단계에서 사전 단위(dictionary unit)에 의해 감지됩니다. 사전 단위는 기억에 저장된 단어들을 포함하고 있는데 각 단어들은 다른 역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역치란 자극이 감지되기 위한 신호의 최소 강도입니다. 따라서 낮은 역치를 지닌 단어들은 작게 제시되거나 다른 단어들에 의해 잘 들리지 않아도 쉽게 감지 됩니다.

Treisman에 따르면 청취자의 이름처럼 흔하거나 특히 중요한 단어들은 역치가 낮아서 방치된 채널에 미세하게 제시해도 감지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누군가 시끄러운 방 건너편에서 우리의 이름을 불러도 반응 할 수 있습니다. 반면 흔하지 않거나 중요하지 않은 단어들은 역치가 높기 때문에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집중된 채널에서 강한 세기로 제시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Treisman에 의하면 집중된 메시지와 더불어 방치되고 약한 메시지들의 일부가 함께 처리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서술한 연구들은 기본적인 주의 현상들을 정의하고, 인지활동의 한 측면을 주변 환경의 정보가 단계적인 처리과정을 거쳐야 하는 정보처리의 문제로 개념화 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후기 선택 모형

  후기 선택 모형은 정보처리의 후기 단계에서 의미를 기반으로 한 선택이 일어난다고 제시합니다. 예를 들어, Donald Mackay는 실험에서 '그들은 bank에서 돌을 던지고 있었다'처럼 중의적인 문장들을 참가자에게 들려주었습니다 이문장들은 집중된 귀에 제시하였고, 'river'나 'money'등의 편향적 단어를 방치된 귀에 제시하였습니다. 참가자들은 이와 같은 애매한 문장 여러 가지를 들은 후, '어제 그들은 강가에서 돌을 던졌다'와 '어제 그들은 상호 저축 은행에서 돌을 던졌다' 중 어느 것이 전에 들은 문장과 의미가 가까운지 선택하라고 했습니다. Mackay는 이 때 방치된 귀에 제시된 단어가 답변에 편향을 일으킨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Mackay는 편향된 단어들이 정보의 의미 판단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이 단어들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단어가 의미 수준까지 처리가 처리된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이와 같은 결과들에 입각해 Mackay와 여러 이론가들은 주의의 후기 선택 모형(late selection models of attention)들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다음에는 처리용량과 지각부하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