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91)
ML을 해보자:선형 모델편 (Multi_task Lasso)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여러 테스크(Multi-task)가 있는 라소에 대해 공부해봅시다. 따로 길게 설명안하고 바로 코드 보시죠 따로 수학 부분은 말하지 않겠습니다(저번이랑 같음)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소개2) 안녕하세요 다시 돌아온 인지심리학 공부 시간입니다. 저번 글을 못 읽으신 분들은 startagainbornagain.tistory.com/48 '인지'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소개1) 안녕하세요 새로운 21년을 맞이하여 '인공지능의 필요한 공부'나 공부해보고 싶었던 것들을 하나하나씩 시작해 보려 합니다. 그중 인공지능의 필요한 자세히 말하면 몇몇 인공지능의 기반이 된 startagainbornagain.tistory.com 위에 링크 들어가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마음의 연구를 포기하다 Watson의 행동주의 창시 John Watson은 분석적 내성법에 대해 실망하게 되었는데 그가 이 방법에 대해 문제점으로 느낀 것은 1. 사람에 따라서 결과가 아주 다르다는 점 2. 이 결과들을 보이지 않는 내적인 심..
MDP(마르코프 결정 과정)에 대해서 오늘은 강화학습에 들어가는 MDP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볼려고 합니다. 먼저 사전 조사해본 결과 많은 분들이 MDP에 대해서 설명을 해놓으신 분들이 많더라구요 강화학습도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시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글이 사전적인 의미 같이 조사를 해놓으신거 같아 좀 쉽게 설명하고 싶어서 열심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MDP는 이산 시간 확률적 제어 과정으로 결과가 부분적으로 무작위이고 부분적으로 의사 결정자의 통제를 받는 상황에서 선택(의사 결정)을 모델링 하기 위한 수학적 프레임 워크를 제공합니다. 그래서 MDP는 동적 프로그래밍, 강화학습을 통해 해결 된 최적화 문제를 연구하는데 유용합니다. 로봇 공학, 자동 제어뿐만 아니라 품질관리같이 경제나 제조를 포함하여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 : 인공지능이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저번 인지 심리학에 대해 쓰고 오늘은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고 블로그에 정리해볼려고 쓰는 글입니다. 앞서 말했지만 인공지능(스튜어드 러셀, 피터 노빅 지음/류 광 옮김)의 내용을 정리하려고 쓰는 글 입니다. 혹여 저와 같이 이 책에 관심이 있거나 정리하는 글이니 더 자세히 내용을 알고 싶다고 하시면 책을 구입하시거나 빌리셔서 읽어 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첫 장은 '소개'인데요 아마 인공지능에 대해서 소개를 하시겠지만 무엇을 소개하는지 보도록 합시다. 현생 인류를 가리켜 호모 사피엔스(라틴어로 지혜가 있는 사람)라고 부르는데 이는 사람에게 지능(Intelligence)이 아주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인류는 수천 년 동안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즉 어떻게 세상을 인식하고, 이해하고,..
ML에 들어가는 수학을 공부하자 (선형 모델 Lasso) 안녕하세요 구현이나 코드는 머신러닝 카테고리에서 봐주세요~ 이번에는 Lasso에 들어가는 수학을 공부해봅시다~ 0이 아닌 계수가 더 적은 솔루션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일부 상황에서 유용하여 주어진 솔루션이 의존하는 기능의 수를 효과적으로 줄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Lasso와 그 변형은 압축 감지 분야의 기본입니다. 특정 조건에서는 0이 아닌 계수의 정확한 세트를 복구 할 수 있습니다 en.wikipedia.org/wiki/Lasso_(statistics) Lasso (statistics) Statistical method In statistics and machine learning, lasso (least absolute shrinkage and selection operator; also L..
ML을 해보자: 선형 모델편 (Lasso) 오랜만에 돌아온 'ML을 해보자' 입니다. 오늘은 Lasso에 대해 알아볼려고 합니다. Lasso는 희소계수를 추정하는 선형모델입니다. Lasso는 번역하면 우리말로 올가미라는 뜻입니다. 회귀 모델로 두 변수의 선택과 정규화 결과의 예측 정밀도 및 해석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통계적 모델입니다. 라소는 선형 회귀 모델 용으로 알려져있고 능선 회귀와 최상의 하위 집합 선택 과의 관계, 올가미 계수 추정과 소위 소프트 임계 값의 간의 연결이 포함됩니다. 기존 선형 회귀에서는 가중치와 편향을 찾는 것이 가장 큰 숙제였는데요. 라소는 거기에 덧붙여서 추가 제약 조건을 주웠습니다. 어떤 제약을 줬냐하면 MSE(평균제곱오차)가 최소가 되게 하는 가중치와 편향을 찾는데 동시에 가중치들의 절대값들의 합, 즉 가중치의 ..
'인지'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소개1) 안녕하세요 새로운 21년을 맞이하여 '인공지능의 필요한 공부'나 공부해보고 싶었던 것들을 하나하나씩 시작해 보려 합니다. 그중 인공지능의 필요한 자세히 말하면 몇몇 인공지능의 기반이 된 인지에 대해 책을 읽고 하나하나씩 정리하여 블로그에 올리려고 합니다. 오늘은 인지에 대해 처음 알아가는 시간이니 먼저 제가 공부하고 있는 책을 알려드리자면 인지심리학(E. Bruce Goldstein지음 도경수|박태진|조양석 옮김)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저도 이제 막 공부하는 입장이니 한 번 책을 사셔서 같이 공부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라고 생각합니다. ㅎㅎ 인지 심리학: 마음을 연구하다. 인지 심리학(cognitive psychology)은 심리학의 한 분야로 마음에 관한 과학적 연구에 대해 다룹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마..
음악 만드는 인공지능? 오늘은 음악을 만드는 인공지능에 관해 공부하고 연구하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인공지능이 음악을 만들 수 있다고 하니 한 번 도전해보고 싶어서 실제로 공부와 구현을 해보고 제가 좋아하는 개성이 강한 노래들을 데이터로 하여 새로운 노래를 만들어 보고 실제 사운드클라우드라는 곳에 한 번 올려볼려고 합니다. 제가 생각한 것이 100%된다면 좋겠지만 아마도 보고 연구하고 생각하느라 아마 다하지는 못할 것 같군요 ㅎㅎ;; 그래도 열심히 해봅시다. 일단 저는 MuseNet과 MuseGan이라는 논문(?)을 참고하여 만들어볼려고 하는데요 아마 MuseGan은 이름에서 아실테지만 Gan을 이용하여 노래를 만들어내는 것 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