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공지능

(49)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9) : 대항 검색6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22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5) : 대항 검색5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16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5) : 대항 검색4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15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5) : 대항 검색3 http.. startagainbornagain.tistory.com 검색 대 참조 게임 시작 시 체스 프로그램이 폰을 e4로 움직이는 수를 결정하기 위해 수십 억 개의 게임 상태들로 이루어진 트리를 검색해야 한다는 것이 너무 과하게 느껴질 수 있겠습니다. 체스 게임의 개시와 끝내기에서의 좋은 플레..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8) : 대항 검색5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16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5) : 대항 검색4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15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5) : 대항 검색3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13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5) : 대항 검색2 http.. startagainbornagain.tistory.com 전방 가지치기 지금까지 특정 수준에서의 검색 차단과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적어도 발견법적 평가 값들의 관점에서) 노드들의 알파 베타 가지치기를 살펴보았습니다. 그런데 전방 가지치기라는 것도 가능합니다. 즉, 주어진 노드에서의..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7) : 대항 검색4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15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5) : 대항 검색3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13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5) : 대항 검색2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11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4) : 대항 검색1 http.. startagainbornagain.tistory.com 검색의 차단 검색을 차단하는 것이 적당한 지점에 도달했으면 발견법적 EVAL 함수를 호출하도록 ALPHA-BETA-SEARCH를 수정해야 합니다. 또한 현재 각 재귀 호출에서 depth가 증가하도록 일부 관리(bookkeeping..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6) : 대항 검색3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13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5) : 대항 검색2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11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4) : 대항 검색1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06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3) : 온라인 검색 에.. startagainbornagain.tistory.com 알파베타 가지치기 최소최대 검색의 문제는 조사해야 할 게임 상태의 수가 게임트리 깊이에 지수적이라는 점입니다. 안타깝게도 그 지수를 제거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지수를 실질적으로 반감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여기서 핵심은, 게임 트리..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5) : 대항 검색2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11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4) : 대항 검색1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06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3) : 온라인 검색 에이전트와 미지 환경 저번 글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04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startagainbornagain.tistory.com 게임의 최적 결정 보통 검색 문제 (검색에 관한 URL)에서 최적해는 목표 상태로 가는 동작들의 순차열 형태입니다. 게임의 경우 목표 상태는 승리에 해당하는 말단 상태이고요. 대항 검색에서는 MIN이 게임에 변화를 줍니다. 따라서 MAX는 ..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4) : 대항 검색1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06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3) : 온라인 검색 에이전트와 미지 환경 저번 글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04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2) : 부분 관찰 가능 환경의 검색 오랜만입니다 ㅠㅠ 많이 늦었죠..? 다시 열심히 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글 http startagainbornagain.tistory.com 게임 각 에이전트가 다른 에이전트들의 동작과 그것이 자신의 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하는 다중 에이전트 환경을 소개 했었습니다. 다른 에이전트들의 예측 불가능성 때문에 에이전트의 문제 해결 공정에서 논의한 우발성(CONTINGENCY)이 도입..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3) : 온라인 검색 에이전트와 미지 환경 저번 글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04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2) : 부분 관찰 가능 환경의 검색 오랜만입니다 ㅠㅠ 많이 늦었죠..? 다시 열심히 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글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99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1) : 비결정론적 동작들을 수반한 검색 https:// startagainbornagain.tistory.com 지금까지는 오프라인 검색(offline search)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에이전트들에 초점을 두었습니다. 그런 에이전트는 실제 세계에 발을 들여놓기 전에 먼저 완전한 해답을 계산하고, 그런 다음에야 해답을 실행합니다. 반면 온라인 검색(onli..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2) : 부분 관찰 가능 환경의 검색 오랜만입니다 ㅠㅠ 많이 늦었죠..? 다시 열심히 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글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99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1) : 비결정론적 동작들을 수반한 검색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96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10) : 모의정련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92 스튜어드 러셀의 인공지능을 읽어보자(9) : 고급 검색 기법 https.. startagainbornagain.tistory.com 참고해주시고 이제 시작하겠습니다. 이제 부분 관찰 가능성의 문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경우 에이전트의 지각들만으로는 정확한 상태를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