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지'에 관하여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분리 주의2)

반응형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54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분리 주의1)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45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주의4)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32 '인지' 란 무엇일까?(인지 심리학: 주의3) https://startagainbornagain.tistory.com/129 '인지' 란 무

startagainbornagain.tistory.com

오늘은 '주의'에 대한 마지막 장이 될거 같습니다!

 

주의를 기울이지 않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여태까지는 주의를 기울이는 것에 대해 초점을 두고 자극에 대한 반응을 하는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봤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우리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을 때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한 가지 가능성은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것에 대한 것은 지각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

 

 

위 사진처럼 한 도형에 대해 주시하고 있다면 다른 한쪽에 도형이 무엇이 있는지 쉽게 지각하기 어렵습니다.

그런데 연구자들은 시야 밖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시야 안에 제시되는 물체들도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지각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무주의맹

눈에 똑똑히 보임에도 불구하고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 보이지 않는 것을 무주의맹(inattentional blindness)이라고 합니다.

1998년 Arien Mack과 Irvin Rock이 발간한 무주의맹이라는 책에서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을 때 시야 안에 들어와 있는 사물들도 지각하지 못하는 것을 보여주는 실험을 소개했습니다.

Ula CartwrightFinch와 Nilli Lavie가 Mack과 Rock의 실험에 기반을 두어 고안한 새로운 실험에서는 십자 모양이 자극으로 제시됩니다. 십자 모양은 다섯 번의 시행에 걸쳐 제시되었고 참가자의 과제는 빠르게 제시된 십자 모양 가로선과 세로선 중 무엇이 더 길었는지 판단하는 것이었습니다. 제시 속도가 빠르고 선의 길이가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과제의 난이도는 높은 축에 속합니다. 이 실험을 여섯 번째 반복할 때 작은 상자가 화면 안에 함께 제시되었습니다.

여섯 번째 시행 직후 참가자들에게 이전과 다른 점을 눈치 챘는지 물어보았습니다.

 

반응형

 

그 결과 20명의 참가자 중 단 두명 만 상자를 보았다고 보고하였습니다.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상자가 십자 모양 바로 옆에 지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자를 인식하지 못하였습니다.

이 실험에서는 잠깐 나타났다 사라지는 도형 자극을 사용해 무주의맹을 실험하였습니다. 그러나 더 자연적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제시되는 자극들을 사용해도 비슷한 효과가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백화점 진열장을 본다고 생각해 볼 때 전시된 상품에 온 신경이 가있다면 유리에 무엇이 비춰져 있는지 인식하지 못할 것입니다.

 

변화 탐지

어떤 연구자들은 주의의 결핍이 지각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를 실험하기 위해 사진 하나를 제시하고 이어서 살짝 수정된 같은 사진을 제시해 보았습니다.Ronald Rensink와 동료들은 실험을 진행했는데 그들은 참가자에게 사진 하나를 보여주고 빈 화면을 제시한 뒤 똑같은 사진을 보여주었습니다. 같은 사진이지만, 두 번째 그림에서는 무언가 하나 빠져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무엇이 없어졌는지 알아낼 때까지 그림이 계속 번갈아 제시되었습니다. 그 결과 사람들이 변화를 눈치채려면 그림을 꽤 여러번 제시해야 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처럼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는 것을 변화맹(change blindness)라고 부릅니다.

 

장면의 어느부분이 변화 했는지 알려주는 단서를 제시했을 때는 사람들이 더 빨리 변화를 감지 했습니다. 이는 변화 감지에서 주의를 기울이는 여부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주의와 일관성 있는 세상 경험하기

지금까지 주의가 지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살펴 보았습니다. 주의는 주변의 사물들을 지각하는 것을 돕고 이에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시킵니다. 지금부터는 일상생활에서 잘 인식하지 못하는 주의의 또 다른 기능을 살펴볼 것입니다. 주의의 한 가지 중요한 기능은 결속(binding)입니다. 결속이란 색깔, 모양, 움직임, 위치 등과 같은 정보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우리의 지각에 하나의 사물로 제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결속이 왜 필요한가?

결속의 필요성은 국채화 부분을 참고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뇌의 여러 영역들이 각기 다른 지각 요소들을 담당한다고 배웠습니다. 우리가 어떤 일을 처리하고 있으면 각기다른 뇌의 체계속에서 서로 다른 영역들이 같이 처리하기 때문에 이 속성들의 통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문제를 결속 문제(binding problem)라고 합니다

 

결속 문제는 Anne Treisman의 특징통합 이론에 의해 처음 소개 되었습니다.

 

특징 통합 이론

Treisman은 특징 통합 이론(feature integreation theory)을 두 단계로 제시하여 사물의 새별적 특징들을 어떻게 하나의 사물로 인식하는지 설명했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Feature_integration_theory

 

Feature integration theory - Wikipedia

Feature integration theory is a theory of attention developed in 1980 by Anne Treisman and Garry Gelade that suggests that when perceiving a stimulus, features are "registered early, automatically, and in parallel, while objects are identified separately"

en.wikipedia.org

이 이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위키백과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결국에는 이 실험은  여러 특징들이 하나로 결속되기 위해서는 즉 여러 뇌의 영역이 하나의 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주의의 중요성이 시사된다는 점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마무리 하겠습니다. 고려사항으로 뇌를 차지하기 부분이 있긴 하는데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어떤 상황에서는 특정한 것에 다른 것들보다 더 큰 주의를 기울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다음에는 제가 인공지능 이론에서도 있는 LSTM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LIST